에너지산업진흥원
 
 
 
   
 
산업정보 홈 > 진흥원소개 > 산업정보
 

기후이변 속출 속 열린 G20 환경장관회의 '빈손' 폐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9-01 12:28 조회1,534회 댓글0건

본문

연합뉴스, 2022.08.31.(수)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 장관 회의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폐막됐다.

G20 회원국들은 31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환경·기후 장관 회의에서 ▲ 더 지속가능한 회복 지원 ▲ 환경보호와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육지·해양 기반 행동 상향 ▲ 환경보호와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재원 조달 촉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의 시티 누르바야 바카르 환경산림장관은 개막 연설을 통해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협력하지 않으면 지구가 '미지의 영역'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각국이 함께 온난화를 막지 않으면 지구에 지속가능한 미래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벽이 아니라 다리를 건설해야 한다"며 공조 대응을 호소했다.

지난해 영국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의장을 맡았던 알록 샤르마도 이날 회의에 참석해 "현재 에너지 위기는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국가들의 취약성을 보여준다"며 "기후 안보는 에너지 안보와 동의어가 되었고 기후 변화의 만성적인 위협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회의는 전 세계 곳곳에서 화재와 홍수, 폭염과 같은 극단적인 이상 기후 현상이 발생하면서 전 세계가 시름 하는 가운데 열렸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극단적인 기상 현상은 대부분 인간이 일으킨 기후 변화에 의한 것이라며 갈수록 심각성은 커지고 빈도는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날 회의는 결국 공동 합의문을 작성하지 못하고 빈손으로 마쳤다.

로이터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알렉산드로 모디아노 이탈리아 기후변화 특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환경과 식량, 에너지 안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회복 노력,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 노력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일부 국가들의 의견도 이어졌다.

특히 중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의 대표들은 산업화 이후 세계 평균기온 상승을 1.5도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자는 COP 26 합의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 밖에도 석탄 화력과 같은 화석 에너지 사용 제한을 놓고도 의견이 엇갈렸다.

이날 회의에는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와 한화진 환경부 장관 등 17명의 환경 장관과 기후 관리들이 직접 참석했으며 중국과 러시아, 아르헨티나의 대표는 화상으로 참석했다.

또 인도네시아는 G20 국가가 아닌데도 환경 문제에 대해서는 부의 규모와 관계없이 모든 국가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며 아프리카 연합 대표들도 초대했다.

laecor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상호 : 에너지산업진흥원 | 고유번호 : 761-82-00116 | 대표자 : 권혁수
  • 주소(포항) : 37668 포항시 남구 지곡로 394 제1벤처동 B114 | Tel 054-223-2278 | Fax 054-223-2279
  • 주소(서울) : 06373 서울시 강남구 자곡로 174-10 강남에이스타워 412호 | Tel 02-6211-5020 | Fax 02-6211-5025
  • Copyright@ 에너지산업진흥원 All rights reserved.